
이쑤시개 공장 연기만 그득
- 지금은 이쑤시개 공장이 들어서 버린 은이 공소 터는 한국 교회사 안에서 솔뫼나 미리내만큼이나, 아니 오히려 그 이상 가는 귀중한 사적지이다.
-
- 하지만 이처럼 중요한 사적지인 은이 공소 터, 2천 평 남짓한 그 땅에 이쑤시개 공장이 들어서 있고 잡초만이 무성한 텃밭으로 변해 버린 모습을 대하면 후손들의 무심함에 못내 부끄러워진다.
-
- 은이 마을은 한국 교회 최초의 방인 사제였던 성 김대건 신부와 뗄래야 뗄 수 없는 깊은 인연을 간직한 곳이다. 김 신부가 소년 시절을 보낸 골배마실에서 불과 얼마 떨어져 있지 않은 은이 마을은 그가 모방 나 신부로부터 세례를 받고 최양업, 최방제와 함께 신학생으로 간택되어 마카오로 파견된 곳이다.
-
- 또 사제 서품을 받고 귀국한 김대건 신부의 첫 사목지가 바로 은이 공소로서 「용인 천주교회사」(오기선 신부 감수, 조성희 지음)는 이에 대해 "은이 공소는 조선 교회 사상 최초의 본당"이라고 기록하고 있다.
-
- 바로 이곳에서 김 신부는 조선 땅에서는 처음으로 신자들과 함께 미사를 봉헌했고, 바로 이곳이 체포되기 직전 공식적으로 최후의 미사를 드렸던 곳이기도 하다. 한국 교회의 가장 대표적인 성인으로 추앙받는 김대건 신부가 성소의 씨앗을 뿌렸던 곳이자 그 열매가 가장 먼저 풍성하게 열렸던 곳이 바로 은이 마을, 은이 공소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것이다.
-
- 은이 공소와 관련된 또 한 명의 성인은 바로 모방 나 신부이다. 그는 파리 외방 전교회 소속 선교사로 조선 교구 초대 교구장이었던 브뤼기에르 주교가 1835년 조선입국을 목전에 두고 병사하자 그 뒤를 이어 부주교로서 조선 교구를 맡게 됐다.
-
- 당시 몽고에서 한문 공부를 하며 브뤼기에르 주교로부터 이미 모든 사목 권한을 위임받은 모방 신부는 브뤼기에르 주교가 준비했던 길을 따라 조선 입국을 서둘러 국경에서 조선 교우들을 만나고 1836년 초 마침내 조선 땅을 밟음으로써 파리 외방 전교회원으로서는 최초로 조선에 입국한 선교사가 된다.
-
- 부활절을 서울에서 지낸 모방 신부는 본격적인 사목 활동에 나서 주로 경기도와 충청도 지역의 교우촌을 방문하고 2백여명에게 세례를 주었다. 이 때 그의 사목 활동의 중심지가 바로 경기도 용인군 내사면 남곡리 용공에 위치한 은이 공소였다.
-
- 모방 신부는 1837년에 이르러서 샤스탕 신부를 맞아들여 함께 사목 활동을 함으로써 조선 교구 제2대 교구장 앵베르 범 주교가 그 해 말 입국할 때 이미 조선 교구의 교세가 두 배 이상으로 성장하는 등 큰 성과를 얻고 있었다.
-
- 하지만 결국 모방 신부는 1839년 기해박해 당시 앵베르 범 주교, 샤스탕 신부와 함께 그 해 9월 홍주(洪州) 근처에서 스스로 잡힌 몸이 됨으로써 결국 9월 21일 새남터에서 순교의 영광을 얻게 된다.
-
- 아직 개발되지 않은 다른 여러 사적지 및 성지들과 마찬가지로 은이 공소 터는 그 땅에 서리서리 얽혀 있는 선조들의 뜨거운 신앙을 기릴 수 있도록 후손들의 정성 어린 손길을 필요로 하고 있다. 다행히 최근 들어 은이 공소의 교회사적 중요성을 인식하고 양지 성당을 중심으로 사적지 개발을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아직 실제적인 성과는 없어 안타까움을 갖게 한다. [출처 : 주평국, 하늘에서 땅 끝까지 - 향내나는 그분들의 발자국을 따라서, 가톨릭출판사, 1996]
수리산, 골배마실, 은이 - 박해 시대의 교우촌
- 박해의 칼날을 피해 비밀리에 형성된 전국의 교우촌들은 영원한 본향(本鄕)인 천당길을 얻으려는 숨은 꽃(隱花)들의 보금자리였다. 그들은 이곳에서 신앙을 지켰으며, 순교를 향한 오랜 고통과 세월을 참고 기다려야만 했다.
-
- 어화 벗님네야
우리 본향 찾아가세. 인간 영복(永福) 다 얻어도 죽고 나면 허사되고, 세상 고난 다 받아도 죽고 나면 그만이라. 아마도 우리 낙토(樂土) 천당밖에 다시 없네.
- (최양업 신부의 천주가사 '사향가' 중에서)
-
- 그러나 그 대부분은 흔적도 없이 사라져 버리고 말았다. 홀연히 형성되었다가 배교자나 포졸들의 눈에 띄어 갑자기 사라져 버린 것이 우리 교우촌이었다. 다행인 것은 현재까지도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는 곳이 곳곳에 남아 있고, 신앙 후손들에게 그 신심이 그대로 이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
- 1830년대 최양업(토마스) 신부의 부친 최경환(崔京煥, 프란치스코) 성인에 의해 교우촌으로 가꾸어진 수리산(修理山, 안양시 안양 3동의 뒤뜸이 마을). 성 김대건(안드레아) 신부가 성장한 골배마실(용인군 내사면 남곡리)과 이웃 '숨은 이들의 마을' 은이(隱里) 교우촌. 이 두 지역은 경기도에서도 가장 유명한 교우촌이자 카타콤바와 같은 박해 시대의 비밀 교회로서 신앙을 이어 나가는 원동력이 되었다. 1836년 초 수리산에서는 최양업이 교우들의 추천으로 신학생으로 선정되었고, 얼마 뒤에는 골배마실에 살던 김대건도 신학생으로 선발되어 함께 마카오로 유학을 떠나게 되었다.
-
- 수리산이나 골배마실 골짜기는 땅이 척박하였으므로 신자들 대부분이 화전이나 담배 농사를 지어 생활을 꾸려가야만 했다. 그러니 생활에 여유가 있을리 없었지만 그들은 언제나 새 신자들을 환영하였고, 가진 것이 아무것도 없는 그들이 생활 터전을 마련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또 신부의 방문이 있을 때면 여럿이 모은 공소전(公所錢)을 바쳐 교회 사업을 도왔으며, 아침 저녁으로 함께 모여 기도하는 것을 일상 생활에서 가장 중요한 일로 생각하였다. 이것이 바로 초대 교회로부터 내려오는 나눔과 섬김의 전통이었다.
-
- 1839년의 기해박해 때 이곳은 모두 포졸들의 습격을 받게 되었다. 당시 수리산의 회장 최경환은 이미 순교를 각오하고 있던 터였으므로 태연히 그들을 맞이하였다. 뿐만 아니라 아내 이성례(李聖禮, 마리아)에게 음식을 준비하여 대접하도록 한 뒤 교우촌 신자들과 함께 오랏줄에 묶인 채 포도청으로 끌려갔다. 그리고는 무지한 형벌을 여러 차례 받은 뒤 그 상처 때문에 옥중에서 순교하고 말았다. 반면에 최양업 신부의 모친 마리아는 두 살짜리 막내 자식에 대한 육정(肉情, 모정)을 이기지 못하고 배교하였으나, 이내 잘못을 뉘우친 뒤 끊어지는 육정을 억누른 채 순교를 맞이하였다.
-
- 그러나 훗날의 시복 과정에서 마리아는 첫 번째의 배교로 제외되고 말았다. 그러나 어린 자식 때문에 일시 배교했으나 이를 뉘우치고 순교한 사실은 오히려 조선의 전통에서 본다면 모정과 신앙을 모두 지킨 모범적인 순교임이 분명하다. 따라서 앞으로의 시복 과정에서는 마땅히 마리아를 다시 '하느님의 종'에 포함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
- 한편 골배마실에 살던 김대건의 부친 김제준은 사위 곽(郭) 씨의 밀고로 체포되어 순교하였으며, 아내 고 우르술라는 동냥으로 목숨을 부지해야만 하였다. 그러니 첫 번째 방인 사제가 되어 귀국한 뒤 모친을 뵙게 된 아들 김대건의 마음이 어떠했을까? 김대건이 골배마실로 돌아와 모친과 함께 생활하면서 은이 공소를 중심으로 활동한 것은 1845년 말부터 다음해 부활절까지였다. 그러다가 그는 황해도 지방의 해로를 개척하러 나갔다가 체포되어 새남터에서 순교하였다.
-
- 최경환과 김제준이 순교한 뒤 그들의 시신은 가족들에게 거두어져 수리산 자락과 골배마실 인근에 각각 안장되었다. 그러나 최경환의 무덤이 후손들에 의해 가꾸어져 온 반면에 김제준의 무덤은 잊혀지고 말았다. 이후 최경환의 유해는 1930년에 발굴되어 명동 대성당 지하 묘지에 안치되었으며, 본래 무덤 자리와 교우촌은 1965년부터 사적지로 조성되기 시작하였다. 또 골배마실에는 1962년 양지 본당 신자들에 의해 김대건 신부상이 건립되었고, 은이 공소 터는 최근에 일부가 매입되어 사적지로 조성되고 있는 중이다. [출처 : 차기진, 사목 244호(1999년 5월), pp.104-106]
관련 웹사이트
- 수원교구 홈페이지 은이 공소 소개 페이지
- 양지 성당 홈페이지 용인시 양지면 소재(주보 성 김대건 안드레아). 본당 소개, 연혁, 미사 안내, 관할구역, 사목협의회 조직, 단체, 골배마실/은이 성지 소개, 교회상식, 주일학교, 청년, 자유게시판, 관련 사이트 등의 정보를 제공한다.
- 서울대교구 GoodNews 은이 공소 터 소개 페이지
관련 정보
- 관련 사진/자료 보기
- 소속 : 수원교구
- 주소 : 경기도 용인시 내사면 남곡리 용곡 은이 마을
- 전화 : 양지 본당 사무실 (031) 338-3011
- 위치 : 영동 고속 국도 양지 인터체인지에서 빠져 나와 용인시 쪽으로 2km쯤 가면 도로 우측으로 국빈장이란 여관이 나온다. 여기서 좌측으로 난 길로 접어들어 1.3km쯤 들어서면 은이 마을이 된다
- 지도 보기
|